1. 9 일 근무 시 예상 ‘세전’ 금액부터 계산
항목 | 계산식 | 금액(원) |
월 기본급 | 2,460,000 (계약 월급) – 200,000(교통비) | 2,260,000 |
일할계산 | 2,260,000 ÷ 30 일 × 9 일 | 678,000 |
교통비 | 200,000 ÷ 30 일 × 9 일 | 60,000 |
세전 합계 | 678,000 + 60,000 | 738,000 |
2. 4대 보험 공제 여부가 “키포인트”
구분 | 가입 의무 | 근거 |
국민연금·건강보험·장기요양 | 면제 가능 (근로계약 1개월 미만이면 제외 대상) | |
고용보험 | 원칙적 가입이나, 월 60 시간 미만이면 면제 |
9 일 × 8 시간 = 72 시간이라 고용보험 0.9 %(근로자 부담)는 공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국민연금·건보는 대개 빠집니다.
3. ‘면제 시나리오’ 기준 실수령액
항목 | 금액(원) | 비고 |
세전 합계 | 738,000 | 위 ① 계산 |
고용보험 (0.9 %) | –6,642 | 738,000 × 0.009 |
소득세·지방소득세 | –0 ~ –1,000 | 간이세액표상 70 만 원대는 거의 0원 |
예상 실수령액 | 약 731,000 원 | 오차 1천~2천 원 내외 |
. 꼭 확인하세요!
일할계산 기준일수(30 일 vs 31 일)
고용보험 제외 여부(월 60 시간 미만인지, 회사 신고 방식)
교통비·만근수당 지급 규정(사규·취업규칙)
원천징수 영수증: 실제 공제 내역을 회사에 요청하면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▶요약
9 일만 근무했다면 국민연금·건보는 보통 빠지고 고용보험 0.9 % 정도만 공제됩니다.
세전 738,000 원 → 실수령 약 73만 원 안팎으로 보시면 됩니다.
만근수당은 월 전일 근무를 못 채우면 지급되지 않는 점도 참고하세요!
단기 알바라도 4대 보험을 공제할까요? 주 15시간 이상 일하거나 월급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의무 가입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2025년 기준 고용보험,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산재보험의 가입 조건을 정확히 정리해 드립니다. 실수령액이 줄어드는 이유도 이 글 하나면 이해됩니다! 목차단기 알바 4대 보험, 정말 다 해당될까?보험별 기준 총정리표보험별 가입 기준 자세히 보기산재보험고용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·장기요양알바 근무 조건별 실제 사례 3가지아르바이트생이 꼭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한 줄 요약✅1. 단기 알바 4대 보험, 정말 다 ...
wildlili.tistory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