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상표 등록은 '특허로' 사이트를 통해 개인이 직접 진행하거나, 비용을 지불하고 변리사 등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
. 상표 등록은 선행 상표 조사 → 출원 서류 제출 → 심사 → 등록료 납부의 단계를 거칩니다.
1. 상표 등록 방법
직접 상표 등록 (셀프 출원)
키프리스(KIPRIS) 검색: 특허청 특허정보검색서비스인 키프리스(www.kipris.or.kr)에서 사용하려는 상표와 유사한 상표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특허고객번호 부여: '특허로' 사이트(www.patent.go.kr)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공동인증서 등록, 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마치고 특허고객번호를 부여받습니다.
출원 서류 작성 및 제출: 특허로 사이트에서 '상표등록출원서'를 작성합니다. 출원인의 정보, 상표 견본, 그리고 판매하려는 상품/서비스업을 분류에 맞게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.
심사 및 의견서 제출: 제출된 출원서는 특허청 심사관의 심사를 거칩니다. 만약 심사 과정에서 보완이 필요하거나 거절 이유가 발견될 경우, 의견서 또는 보정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등록료 납부: 심사를 통과하면 등록 결정이 통지되며, 5년 또는 10년 단위의 등록료를 납부하면 최종적으로 상표권이 등록됩니다.
전문가에게 의뢰
변리사 상담: 상표 전문 변리사 사무소에 문의하여 상담을 받습니다.
상표 조사 및 출원 대행: 변리사가 상표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고, 출원 서류 작성 및 제출을 대행해 줍니다.
심사 대응: 출원 후 심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견제출통지서 등의 대응을 변리사가 처리합니다.
등록: 최종 등록까지 모든 과정을 전문가가 진행합니다.
2. 상표 등록 비용
상표 등록 비용은 직접 진행하는지, 변리사에게 의뢰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. 대학생(만 19세 이상 30세 미만)은 관납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직접 등록 시 (셀프 출원)
출원료: 상품 분류 1개당 5만 6천 원입니다. 전자 출원 시 4만 6천 원으로 감면됩니다. 상품이 10개를 초과할 경우 1개당 2천 원씩 추가됩니다.
등록료: 5년분 또는 10년분을 선택하여 납부합니다.
5년분: 13만 1,120원
10년분: 21만 0,120원
대학생 감면: 만 19세 이상 30세 미만인 경우, 관납료(출원료, 등록료)의 85%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.
변리사 의뢰 시
변리사 대행 수수료: 사무소마다 차이가 있지만, 출원 단계에서 2025만 원, 등록 단계에서 4045만 원 정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추가 비용: 심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보정서나 의견서 제출이 필요할 경우,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팁: 예산이 부족하거나 처음이라 절차가 어렵게 느껴진다면, 대학생 감면 혜택을 활용하여 직접 출원을 시도해 보거나, 여러 변리사 사무소의 수수료를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